<aside>
💡 기준
<aside>
💡 할 일
<aside> 💡 1990년대 최고 연예인 top3
범위 : 90년대 최고 영화배우
범위 선정 이유 : 논문
기준 : 백상예술 대상
기준 선정이유 :
1965년 시작된 최고 권위의 종합예술상으로
1965년부터 올해로 59회째를 맞이하는 종합 예술상인 만큼 배우분들의 순위를 매기는 것에 적합하다고 생각.
본 상은 지난 1년간 방영, 상영 또는 공연된 TV/영화/연극부문의 제작진과 출연자에게 시상하는 국내 유일의 종합예술상.
코로나19속에서도 후보자 연예인들중 최고 97.5%의 참석률을 자랑하는, 현재 한국에서 가장권위있는 시상으로 평가받음. @ユミン 이부분 확인 부탁합니다
[56회 백상] 백상의 날..연예계 120개의 별들이 뜬다
</aside>
<aside> 💡 발표
시간은 5분에서 8분
어떤기준에서 선정하였는가 → 최종순위 →
</aside>
<aside> 💡 논문
92년 1월 우리나라 국민은 1년에 평균적으 로 1.2편의 영화를 보고, 7.4편의 비디오 영화를 보는 것으로 추산되었고,25) 94년 비디오 대여점의 대여료 수입(3000억)이 한국 영화 시장 규모(1400억 원)의 두 배 이상 컸다.
1990년대 미디어 환경과 자아 경험: 미디어 기억의 자기 구술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후 - 인천대학교
http://www.hefinstitute.or.kr/~hefinstitute/ejournal/17/01.pdf
</aside>
이경영 124작 안성기 90작 박중훈 43작 심혜진 30작
26회 | 1990년 | 박중훈 《우묵배미의 사랑》 | 장미희 《불의 나라》 |
---|---|---|---|
27회 | 1991년 | 안성기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 | 이혜숙 《은마는 오지 않는다》 |
28회 | 1992년 | 유인촌 《김의 전쟁》 | 강수연 《경마장 가는 길》 |
이름 | 영화 출연 횟수 | ||
안성기 | 136 | ||
이경영 | 124 | ||
박중훈 | 43 | ||
심혜진 | 30 |
이름 | 영화 출연 횟수 |
---|---|
안성기 | 136 |
이경영 | 124 |
박중훈 | 43 |
심혜진 | 30 |
발표 평가 기준
객관적 설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