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심화

<aside> 📝 이번 회의 내용

<aside> 👩🏻‍🏫 건강관리 도우미

  1. 수면관리 & 운동량 체크 패턴 토대로 캐릭터 키우기
    1. 수면의 질
    2. 몸을 많이 사용하였는지 여부 판단해서 적절한 수면 시간 추천
    3. 캐릭터를 만들어 측정된 데이터를 캐릭터에 심고, 패턴을 읽어 그 패턴에 맞는 상태를 캐릭터를 통해 보여주는 것
    4. 워치페이스 등에서 표시 가능한 아바타를 통해서 자기 자신의 얼굴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캐릭터
    5. 멘탈케어

</aside>

주요 기능(+ 적용 기술)

  1. 적절 수면시간 추천
    1. 수면량과 수면의 질, 운동량 상관관계 고려
  2. 아바타 기능
    1. 디폴트(우리가 제공하는 캐릭터)
      1. Live2D (학생프로젝트 수준, 상업용 배포는 아니기에 괜찮음)
        • 참고
      • 참고
    2. 사진
      • 참고
  3. 지원 플랫폼
    1. 어플리케이션
      • 스마트폰이 주가 되고, 워치용 인터페이스도 구현
      • 전체적인 통계
  4. 멘탈 케어
    1.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메시지(일정 주기 x)
    2. 힘들 때 전해주는 위로 메시지
    3. 상황이 호전될 때 &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때 독려 메시지

프로젝트명 언제나 어디서나, 오시토모.

いつでもどこでも推しとも

최애 推し와 친구의 합성어

팀명

にも三年**

</aside>

<aside> 📌 인공지능 역량 기술

(본인의 경쟁력 있는 인공지능 분야를 세부적으로 기술)

  1.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셋 구축 능력:
  2. 모델 설계 및 추천 시스템 구축 능력:
  3. 기계 학습 및 인공지능 적용 능력:

<aside> 📌

핵심 역량 및 해결 방안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구현가능한 개발 방법론 작성)

1. 핵심 역량

1.1 데이터 분석 및 처리

- 사용자의 수면 패턴, 운동량 등을 정확하게 추적하고 이를 분석하여 적절한 수면 시간과 운동량을 추천하는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합니다.

- 이를 위해 기계 학습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고, 개인화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2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 사용자가 자신의 생활 습관을 즐겁게 관리할 수 있도록 게임화(gamification) 요소가 포함됩니다.

- 아바타(캐릭터)는 Live2D 기술 등으로 동적이고 매력적인 디자인이 필요하며, 사용자의 컨디션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이 반영됩니다.

1.3 멀티 플랫폼 지원

- 주로 스마트폰에서 서비스를 이용하지만, 웹에서는 수면 패턴 및 운동량 통계 확인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또한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2. 해결 방안

2.1 데이터 분석 및 처리

- 센서 데이터와 앱 활용 데이터 등 다양한 출처에서 얻은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빅데이터 처리 방법론(예: Hadoop, Spark)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합니다.

2.2 UX 디자인

- 게임 메카닉 설계와 UI/UX 설계는 강력한 참여 유도 요소가 됩니다. 예를 들어, 일정 목표 달성 시 아바타에게 보상을 주는 등의 게임 메카닉이 있습니다.

- Live2D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아바타를 구현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아바타가 변화하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합니다.

2.3 멀티 플랫폼 지원

- React Native, Flutter 등의 크로스 플랫폼 개발 도구를 이용하여 iOS와 Android에서 모두 작동하는 앱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웹 버전은 Next.js, Vue.js 등의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개발하며, RESTful API 또는 GraphQL 등으로 백엔드와 통신합니다.

-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기 위해서는 각 기기 제조사가 제공하는 SDK나 API를 활용해야 합니다.

2.4 멘탈 케어

- 사용자 상태에 따른 메시지는 건강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aside>

<aside> 📌 목표달성도 평가지표 및 활용 분야

(개발 방법론에 의한 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지표와 응용활용 분야를 예시1과 예시2를 참조하여 기술)

  1. 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 지표

    1.1 사용자 참여도

    1.2 개인화 추천의 정확성

    1.3 아바타 변화에 대한 반응

  2. 응용 활용 분야 </aside>

워치 데이터 API

Health Platform API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health | Flutter Package

REST API  |  Google Fit  |  Google for Developers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R5z3I2Z62Nw&list=PLDisgK6MxjFKDIvftfy5lGNm_utSwAc35&index=5&ab_channel=영진전문대학교컴퓨터정보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