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김유민
보통 2시간은 안함 이슈 있는 경우 제외
결과보고서에 있는대로 지난주차에 뭐했고 다음주 계획이 뭐가 되고 계획에 따라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점검하는 형태
업무 분장 제대로 되어서 개인별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역량에 맞게 각자 열심히 할 수 있도록 배분할 것)
교수님 코멘트 요약해서 본인이 정리하도록
각자가 작업한 내용을 말 뿐만 아니라 작업물이 나와야 함
코딩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문서가 나와야 함(스토리보드, ERD 등)
온라인으로 진행하면서 맞는 툴을 사용(Slack)
타 제품과 비교해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킬러 포인트를 제대로 선정해서 아이디어 다듬어야 함(or 뒤엎던가)
교수님을 설득하라
어떤 부분을 시연하면서 보여줄지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함
미리 작업이 되면 교수님이 시간이 되신다면 미리 공유해도 좋을 듯
</aside>
<aside>
💡 박정민
진행
보고서
회의
아이디어
예산
기술력 성장을 보여줄 수 있으면 좋다
참신한면이 있으면 좋겠다
갤럭시 워치 별로다
</aside>
<aside>
💡 강주원
지난 주 뭘 했는지 보고 확인.
업무 분담에 대한 이야기 역량에 맞는 분담
PM교수 코멘트: PM 교수의 코멘트를 우리가 잘 요약해서 적는다.
각자가 한 것을 구체화 시켜서 실체(코드, 시연)을 가지고 확인
코딩을 위한 구체적인 문서(소토리보드, 레이아웃, erd)가 필요하다.
협업 툴(슬랙, 게더 등)을 이용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준비해라.
큰 이슈가 있는 경우에만 2시간 풀로 진행
기획 했던 것을 킬러 컨텐츠, 기능(차별점이 있는 내용을 의미) 을 잘 다듬어라.
교수님을 설득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기업을 설득 시킬 수 있다.
발표, 시연을 고려한 기획
기획을 잘 다듬어서 다음주 시간에 확인해보자.
슬랙이나, 노션, 피그마를 이용해 공유해줘도 괜찮다고 하심.
팀원끼리 프로젝트 내용에 대한 공유, 이해가 잘 되어 있어야한다.
예산 품목은 그대로 진행 되는지?
프로젝트 규모가 중요한지?
다음주까지 어떤 걸 준비해서 오면 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