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자료
회의록
2023_일본SW2_03조(20231018).zip
JIA03조_20231018_좋은웹사이트선정기준_첨부01.docx
JI2A03조_20231018_좋은웹사이트선정기준_첨부02.docx
JI2A03조_20231018_좋은웹사이트선정기준_첨부03.docx
JI2A03조_20231018_좋은웹사이트선정기준_첨부04.docx
JI2A03조_20231018_좋은웹사이트선정기준_첨부05.docx
</aside>
<aside>
📌 웹 사이트 평가 체크 리스트
- 전반적인 느낌
- 메인 페이지
- 웹 사이트의 목적 설정
- 사용자 분석
- 콘텐츠
- 네비게이션 시스템
- 레이블
- 페이지 구성
- 검색 시스템, 통계 BBS
- 그래픽
- 운영 및 관리
- 마케팅
</aside>
<aside>
📌 19개의 웹사이트 품질평가 요인
- 신뢰성 (도)
- 사용의 편리성
- 디자인 (시각적/미학적)
- 응답속도 (시간)
- 정보품질
- 학습성
- 접근성 (정보접근의 용이성)
- 유용성
- 항해성
- 감성 (감정모습)
- 정확성
- 콘텐츠
- 심미성
- 완전성
- 공감성
- 보안성
- 전달성
- 상호작용성
- 책임성
</aside>
<aside>
📌 건강정보 웹사이트의 소비자 중심 품질평가 척도
소비자 입장에서 건강정보 웹사이트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문항을 조사 분석하여 주요 품질 요인을 추출
사용성
- 활용성: 조작접
- 디자인: 시각적 매력
정보품질
- 정보: 정확, 신뢰감, 이해하기 쉬운 정보
상호작용
- 보안성: 좋은 평판, 개인정보가 안전하다는 느낌
- 공감성: 개인화 서비스, 커뮤니티 공간. 질의가 쉽고 즉각적인 반응
- 신뢰성: (진료)예약 등이 정확
</aside>
<aside>
📌 공공정보시스템의 UI/UX 중심의 평가 기준
- 시스템 상태의 가시성: 현재 시스템의 상태에 대해 사용자에게 시의성있게 안내를 제공
- 현실세계와 시스템 일치: 사용자의 언어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 개념 아이콘 메뉴 등을 사용
- 사용자의 통제가능성과 자유도: 사용자가 원할 때 사용을 중단하거나 실수했을때 되둘릴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일관성과 표준 준수: 사용자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메뉴와 구성에 대한 일관성을 가지고 일반적인 웹사이트 표준에 부합하는 것
- 오류예방: 사용자가 실수할 수 있는 상황을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것
- 회상의 필요성이 없는 구성: 검색 기록을 제시하거나 최근에 찾아 본 정보 등을 제공
- 사용의 유연성과 효율성: 사용자의 숙련도에 맞추어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간단명료하고 미적인 디자인: 무관한 정보를 배제하고 간단명료하게 화면을 구성하고, 미학적으로 좋은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
- 오류발생 시 지원 및 도움말(문서): 오류가 발생되면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문제를 정확히 표시하고 해결방법을 안내하고 도움말을 제공
</aside>